40대들이 생각보다 연봉 및 자산에 대해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는 것을 보고 자료를 찾다 뉴스를 읽어 보니 40 대 가구 중 1/4 이상 약 25%가 1억 원 이상의 소득을 올린다는 기사를 보았다. 현 경제상황과 괴리는 있으나 한편으로는 4 가구 중 1 가구가 1억 이상 소득을 올린다는 것에 대해 내가 포함되지 않아서인지 왠지 씁쓸한 기분은 어쩔 수 없나 봅니다.
1. 뉴스자료 리뷰
그리고 보도에 따르면 작년 가구 평균 소득은 6천400만 원 정도이고, 1억 이상의 소득을 올리는 가구의 분포는 40, 50대에 집중되어 있다고 합니다. 작년 기준으로 국내 가구 평균자산은 1년 전보다 9% 늘어난 5억 4천7백만 원이며, 자산에서 부채를 뺀 순자산은 4억 5천6백으로 10% 늘었다고 합니다.
서울이 평균자산 8억 1천7백으로 1위이고 뒤이어 세종, 경기등의 순으로 이어졌고, 전남의 3억 3천1백만 원의로 자산규모가 가장 작은 것으로 조사 됐습니다. 그러나 가구소득별 구간별 분포를 보니 1천만 원~ 3천만 원 미만이 23% 가장 많았으며, 5천만 원~7천만 원 16% 가장 적었고 1억 이상의 가구소득은 약 18% 정도로 나타났습니다.
가구 자산 비중은 금융자산이 22%로 약 1억 2천만 원 정도이고, 실물자산이 78%로 약 4억 2천만 원 정도이다. 마지막으로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실물자산이 차지하는 비중이 증가하였다고 한다.
2. 40대가 생각하는 중산층에 대한 개념
40대가 생각하는 중산층은 노동자 계층과 상류층 사이에 위치한 사회적으로 이익이 되는 집단으로 묘사되어 질 수 있습니다. 중산층에 합류는 소득, 교육, 직업, 그리고 삶의 선택과 같은 요소들로 특징지어집니다. 40대 들에게 중산층의 일원이 되는 것은 안정감, 편안함, 그리고 사회적 인식을 가져다줄 수 있습니다.
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 4인 가구 기준으로 월 680만원을 벌경우 이에 속한다고 합니다. 가구소득 상위 24% 안에 들어야 하죠. 이에 더해 소비의 경우 427만 원을 소비해야 중산층에 속한다고 하네요. 이경우 소득과 대조적으로 상위 9% 안에 들어야 중산층에 해당합니다.
결론적으로 제가 생각할 때에는 40대 가구 중 1억 원 이상의 소득을 올려야지만이 제가 생각하는 중산층에 해당할 것 같네요. 저는 좀더 분발해야 할 것 같습니다. 그리고 아래 40대 평균자산, 평균 연봉, 노후준비에 관한 글도 있으니 궁금하신 분들은 한번 둘러보세요.
40대 평균자산, 평균 연봉, 노후준비
우리나라 40대들의 자산, 연봉, 노후준비는 어떠할까요? 경제 활동면에서 40대들은 중추적인 역할을 하고 있으며, 전체 직업 종사자의 연령별로 나누어 봐도 40대의 연령비중이 가장 높다고 합니
begin1111.tistory.com
댓글